싱크홀 위험지역을 확인하는 3가지 조건과 서울시 싱크홀 취약지역

2025. 4. 16. 16:37생각하는 뉴스

 

서울 도심 싱크홀, 어디까지 안전할까?

- 싱크홀 위험지역을 확인하는 3가지 조건

최근 싱크홀에 따른 크고작은 사고가 연이어 발생하고 있습니다. 서울 연희동과 강동구에서 발생한 싱크홀 사고 이후 최근에는 경기도 광명시에서 또다시 싱크홀이 의심되는 대규모 도로 붕괴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주행중에 갑작스럽게 발생하는 싱크홀은 예측이 어렵기 때문에 더욱 불안할 수 있습니다. 이쯤되면 정부에서 앞장서서 취약지역에 대해 조사하고, 사고예방을 위해 정보를 공개하는 것이 마땅합니다. 하지만 지역 상권과 집가하락을 우려하여 쉬쉬하다 보니 더 큰 인재를 키우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서울 시내를 중심으로 싱크홀 발생 원인, 위험 징후, 취약지역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1. 싱크홀이란?

**싱크홀(Sinkhole)**은 지하의 토사가 빠져나가면서 지표면이 내려앉아 생기는 함몰 현상입니다. 대부분의 싱크홀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서서히 형성되지만, 갑작스럽게 무너지는 경우도 있어 매우 위험합니다.

연희동 싱크홀 사고 현장


2. 서울 도심에서 싱크홀이 발생하는 이유는?

① 노후된 지하 인프라

서울의 경우 30~40년 전 구축된 상수도, 하수도, 통신망 등의 지하 매설관이 매우 많습니다. 이러한 노후 인프라가 파손되거나 누수되면 주변 토사가 흘러내려 지반이 약해지고 싱크홀이 발생할 가능성이 커집니다.

② 대규모 건설 공사

지하철 공사, 재개발 사업, 고층 건물 기초 공사 등도 지하 지반을 교란시켜 싱크홀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특히 터널을 굴착하면서 발생하는 진동, 수분 변화 등이 원인입니다.

③ 지하수 유출

지하수의 흐름이 변경되거나 대량 유출되는 경우에도 지하 공간이 비게 되면서 싱크홀 발생 위험이 증가합니다. 특히 건기(乾期)와 우기(雨期) 사이 지하수 변화가 심한 계절에 빈번하게 발생합니다.


3. 싱크홀 위험지역을 확인하는 3가지 조건 

뉴스에 따르면, 아래의 세 가지 조건을 만족할 경우 싱크홀 발생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합니다.

강동구 싱크홀 사고현장

조건 1. 최근 대규모 공사가 있었는가?

  • 지하철 공사, 건물 기초 굴착 공사 등은 지반 안정성을 약화시킵니다.
  • 특히 강남, 강동, 광진, 마포, 용산 일대는 공사 밀도가 높아 고위험 지역으로 분류됩니다.

조건 2. 도로 하부에 지하 구조물이 밀집해 있는가?

  • 지하철, 공동구(통신망, 전력망), 하수관, 상수도관 등 지하시설이 중첩되는 구간은 지반 침하 가능성이 높습니다.
  • 시청, 종로, 을지로, 강남역 인근이 대표적입니다.

조건 3. 이전에도 싱크홀이 발생한 적이 있는가?

  • 한 번 싱크홀이 발생한 지역은 지반이 원래 약하거나 복구가 미흡할 수 있어 재발 가능성이 큽니다.
  • 과거 잠실, 상도동, 삼성역 주변이 이에 해당합니다.

4. 서울시 내 실제 싱크홀 발생 사례

● 2014년 잠실역 인근 싱크홀

  • 버스 정류장 옆 인도에서 깊이 5m 싱크홀 발생
  • 원인은 인근 공사장의 지하수 유출 및 지반 붕괴로 밝혀짐

● 2018년 삼성역 인근 도로 함몰

  • 강남대로 일부 차선이 내려앉음
  • 원인은 노후 하수관 파손

● 2020년 상도동 공사장 붕괴

  • 공사장 옹벽 붕괴로 인한 인근 지반 침하
  • 인근 초등학교 급히 폐쇄, 대피 조치

5. 싱크홀 사고, 어떻게 예방할 수 있을까?

● 정기적인 지하 구조물 점검

서울시는 매년 **지하 공동조사(空洞調査)**를 통해 싱크홀 위험지역을 사전 탐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예산과 인력 부족으로 일부 지역만 점검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 시민의 제보와 감시

도로에 균열, 침하, 소리 변화 등이 있다면 빠르게 120 다산콜 또는 구청에 제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공사 시 지반 조사 의무화

공사 전 지하 구조 분석과 지반 안전성 조사를 의무화하고, 고위험 지역은 공사 진행 방식 자체를 조정해야 합니다.


6. 내가 사는 곳은 안전할까?

서울이라는 대도시는 지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만큼 그 위험도 함께 내포하고 있습니다. 시민 스스로도 내가 사는 동네가 과거에 싱크홀이 있었는지, 근처에 대규모 공사가 있는지 확인하는 습관이 필요합니다.

“지하를 들여다보는 눈”이 필요한 시대입니다.
작은 침하도 무심코 지나치지 말고, 안전을 위한 첫걸음을 함께 내딛어 보세요. 집값 보다 몸값이 더 중요합니다. 잊지마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