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1. 18. 10:37ㆍ영화
두 남자가 바다를 보고 해변가에 나란히 앉아 있었다.
그중 한 사람은 시한부 판정을 받아 곧 죽을 운명이었다.
"죽는 기분이 어때요?"
"안 좋지 상당히 안 좋아"
"왜요?"
"왜긴 왜야 죽으니까 그렇지"
"그럼 사는 건 좋았어요?"
"뭐 좋을 때도 있었고 나쁠 때도 있었고"
"X 같았을 때가 더 많았고, 그러고 보니까 헷갈리네
내가 살고 싶은 건지 아니면 죽는 게 무서운 건지
이제 나도 잘 모르겠다 그래서 더 후회돼"
"뭐가요?"
"내가 살아온 게, 너무 비겁하게 살았어"
아이들 픽업을 위해서 차 안에서 기다리다 큰 기대하지 않고 봤던 영화. 서복
사실 주인공들로 보나 내용으로 보나 킬링타임용으로 때려 부수는 일반적인 블록버스터로 생각했었다.
그런데 중간 무렵에 갑자기 마음속으로 훅 들어오는 대사들을 듣고 있노라니 이건 마치 해변에서 진주알이라도 발견한 것과 같은 기분이었다.
액션 영화에 이런 말랑말랑한 감성과 철학적인 대사라니.. 기대하지 않은 탓도 있지만 정말 가슴속에 우물이라도 있다면 누군가 커다란 돌덩이를 던져 넣은 것 같은 파장이 일었다.
왜 사는가?
태어났으니 산다는 무책임한 대답은 하지 말자.
누구는 죽지 못해 살고 누구는 스스로 삶의 마침표를 찍기도 한다.
무엇이 죽음 보다 더 힘든 삶으로 몰았을까?
시험을 망친 여고생, 사랑을 떠나보낸 젊은이, 사업에 실패한 중년의 아저씨. 이유야 어찌 되었든 각자의 죽는 이유(?)도 가지가지 이리라. 하지만 한 번만 더 생각해 보길 바란다. 오늘 하루를 더 살기 위해서 무던히 기도하고 노력하는 시한부 인생들도 있다는 것을.
고통을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고
고통의 게이지가 100이면 죽어도 되고,
미만이면 죽지 못하는 게 아니지 않던가
삶과 죽음의 이유야 개인적인 것이기에 어떤 기준을 두고 판단할 수 없는 문제이기는 하다. 고통을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고 해서 고통의 게이지가 100이면 죽어도 되고, 미만이면 죽을 수 없는 게 아니지 않던가. 그렇듯이 죽음을 기다리는 사람들 때문에 죽을듯한 고통을 참고 견디라는 얘기는 아니다. 내가 그 사람의 고통을 공감하는 정도로 이런 어쭙잖은 얘기를 하는 것도 기만이 될 테니까. 다만 모두가 선택에 의해 태어나고 사는 것은 아니지만, 사는 동안만은 최선을 다해 살아야 하는 의무가 있다고 생각한다.
그것이 삶으로 초대한 조물주에 대한 최소한의 보답이고 염치이기 때문이다.
'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우식에게 맞지 않는 옷, 경관의 피 (0) | 2022.02.05 |
---|---|
넷플릭스 디피(D.P) 어디까지 사실일까? (0) | 2022.02.03 |
넷플릭스 '고요한 바다' 속 느낌 있는 대사 (0) | 2022.01.08 |
당신의 죽음을 미리 알게 된다면, 넷플릭스 '지옥' (0) | 2021.11.28 |
이터널스, 과한 기대가 낳은 대참사 (0) | 2021.1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