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모를 무시한 결혼은 불행을 가져온다.

2024. 1. 15. 14:06삶의 지혜

반응형

MZ세대 이상형에 공감 안 되는 1인

MZ 세대 여자와 남자들의 이상형에 대한 조사 결과이다. 남성의 경우 대부분 성격을 우선시하고 다음으로 경제력을 보는 반면 여성은 성격과 가치관을 중시 여기고 외모를 다음으로 본다고 한다.

사실 이 뉴스를 보고 들었던 생각은 현실성이 좀 떨어진다는 것이었다. 조금 솔직해질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는 OECD 국가 중 출산율이 가장 낮은 국가이다. 그 얘기는 결혼하는 부부 역시 많지 않다는 의미이다. 물론 딩크족 같이 자녀 계획 자체가 없는 부부들도 있지만, 적어도 결혼이라는 절차 뒤에 자녀를 출산하는 게 일반적이라고 본다면 결혼 역시 많지 않다는 의미이다.

결혼하는 쌍들이 많지 않은 것은 서로 간에 합의점에 도달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상호 간 이상형의 불일치가 발생하는 것이다. 성격과 가치관에 문제도 문제지만  젊은 세대에서 원하는 만큼의 경제력을 가진 배우 자을 찾기란 사회 구조상 더욱 힘들다고 본다.

남자 입장에서 너무 본능적인 대답일 수 있지만 여성을 보는 데 있어서 첫째 기준은 당연히 외모일 것이다. 물론 개중 성격과 가치관을 중시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대부분에 남성들은 아름다운 여성을 좋아한다.

자신이 배우자가 될 사람의 외모에 만족하지 않는데 성격과 가치관만 보고 결혼한 경우 어떤 일이 일어날까?

외모를 무시한 결혼은 불행을 가져온다.

고은애씨 , 고은애양?

중년 이후에 외도하는 남자들은 상간녀의 어떤 부분 때문에 외도를 할까?
당연히 외모 때문이다. 외적인, 성적인 매력을 느끼지 못하는 사람과 육체적인 사랑을 나누는 것 자체가 남자라는 동물의 본능과 일치하지 않는다. 단순히 성격과 가치관이 맞는 여성은 동료일 뿐이다. 더 이상 그 이상의 관계로 발전할 수 없다. 남녀 간의 불륜이라는 사건이 발생하기 위해선 결국 서로 간에 육체적인 매력이 점화되어야만 가능하다.

그렇다면 못생긴 여자나 남자는
결혼도 하지 말란 말인가?


그렇지 않다. 내 말은 그런 의미가 아니다. 그래도 다행인 것은 서로 간의 매력 포인트를 보는 눈은 가지 각색이라는 데 있다. 내가 보기에 별로인 사람도 어떤 사람 눈에는 매력적으로 보일 수 있다는 의미다. 동글동글한 여성을 좋아할 수도 있고. 호리호리한 여성을 좋아할 수 있는 것이다. 서로 간의 보는 눈이 다르다는 것은 아마도
하나님께서 이런 문제를 미리 예견하고 만드신 해결책이 아닐까 생각한다. 각자의 미의 기준이 조금씩 다른 것은 참으로 다행스러운 일이다.

매력적인 배우자를 만나라. 그래야 오래간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