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8. 5. 20:05ㆍ생각하는 뉴스
우리 회사 요 모양 이 꼴인 이유
하반기에 대대적인 인사이동이 있었습니다. 뭐 어떤 생각으로 이런 변화를 이끌고 있는지 이해되지는 않지만 하찮은 저 같은 존재가 어찌 대붕의 생각을 알리 있겠습니까?
명목상 대기업은 맞지만 그동안 우리 회사가 대기업이라고 생각했던 적은 별로 없었습니다. 그런 회사이지만 위기를 몇 차례 넘겼고 그때마다 새로운 방법을 찾아내고는 했습니다. 어찌 되었거나 위기를 넘겨왔던 경험과 능력이 있었기에 지금의 회사라도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요즘 들어 더 힘들겠다고 느끼는 것은 바로 새로운 조직책임자 때문입니다. 회사를 망치는 조직책임자 바로 '빈 카운터'의 전형이기 때문입니다.
회사를 망치는 빈 카운터란?
빈 카운터(Bean Counter)란 기업의 모든 문제를 숫자와 데이터로 환원하여 생각하는 경영자나 임원을 말합니다. 뭐 뜻만을 고려한다면 그리 부정적인 이미지만은 아니라고 보입니다. 회사라는 것은 곧 이익을 추구하는 집단이고, 조직의 수익을 숫자등의 데이터에 의지하여 판단하는 것은 오히려 옳은 일이라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모든 문제는 과유불급에서 나타나기 마련입니다. 사업부장급과 같은 임원들의 임기는 계약직의 그것과 같기 때문에 임기 내에 괄목할 만한 실적을 내지 못할 경우 더 이상 직책을 이어갈 수 없게 됩니다. 국내에 모든 전문경영인들이 가장 두려워하는 게 바로 이 실적 아닐까 생각합니다. 실적으로 실력을 증명하고 판단받는 것이 어쩌면 당연해 보이지만 지금의 국내 대기업의 이런 시스템은 긍정적인 면만을 보이고 있지 않습니다. 저희 회사뿐 아니라 대학 동기들과 지인들의 의견을 들어보아도 비단 우리 회사만의 문제가 아니구나 하고 고개가 끄덕여집니다.
전문경영인들의 문제점
과거 국내의 삼성, 엘지, 현대, SK 등 대다수의 대기업은 재벌이라는 독특한 체계 속에서 성장해 왔습니다. 재벌이라는 수직적인 체계 속에 경직된 문화와 획일적인 방식이 문제로 제시되기는 했지만 결국 신속한 판단과 추진력을 무기로 눈부신 성장을 일궈온 것만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입니다.
하지만 국내 대기업들도 IMF라는 파고를 거치며 글로벌화에 따라 체질을 변경하고, 그에 따라 전문경영인 체제와 인력구조를 운영하기 시작했습니다. 물론 재벌구조 속에서 무능력한 조직책임자를 앉혀서 회사를 나락으로 가게 하는 것보다는 검증받은 능력 있는 인재를 적재적소에 이용하는 것이 어디로 봐도 현명한 방법입니다.
하지만 최근 들어 국내의 전문경영인의 선별방식은 우수할지 모르지만 그들에게 주어진 기회와 시간은 매우 제한적이라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아무리 뛰어난 사람도 검증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과 기회가 주어지지 않으면 조급해지고 바로 앞을 이익만을 쫒게 마련입니다. 내 목숨이 1~2년에 달려 있는데 회사의 10년 대계를 생각할 위인이 과연 누가 있을까요?
모르긴 몰라도 내 뒤에 어떤 사람이 오든 간에 지금 내 임기동안 최대한 뽑아서 내 능력이네 하고 자랑한 뒤 좀 더 좋은 조건으로 옮기는 게 일반적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럴수록 회사의 방향성과 기술보다는 숫자에 연연하는 결정을 하게 마련입니다. 나쁜 의미에서의 빈 카운터 말입니다.
빈 카운터가 가져온 파국
주요 자리에 앉은 빈 카운터에 의해서 과거의 영광과 이별한 회사들이 있습니다. GM과 보잉, 인텔이 그러했습니다. 모두 이름만 들어도 알 수 있는 자동차업계, 항공업계 그리고 반도체업계의 리더들이었습니다. 그러나 빈 카운터들의 잘 못 된 판단으로 지금은 과거의 영광을 재현하기 힘든 상황에 몰려있습니다.
이런 상황이 비단 미국에만 있으리란 법이 없습니다. 최근의 삼성을 보더라도 잘 이해할 수 있습니다. HBM 관련하여 뒤처진 것은 그 일부에 불과합니다. 모바일시장에서 애플과 경쟁하던 갤럭시는 이제 찾아보기 힘듭니다. 미국 내에서는 공짜폰으로, 교체폰으로 취급되는 갤럭시를 기대하지는 않았습니다.
회사의 미래를 누구 한 사람의 손에 쥐어져 바뀔 것이라고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분명 영향력이 다른 사람은 존재합니다. 그런 사람이 그 격에 맞는 자리에 위치해야 회사가 살 수 있습니다. 그런 사람이 단기간의 실적을 연연하지 않도록 지원하는 제도 역시 빠져서는 안 될 것입니다.
'생각하는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봉이 3억 8000만원이라면, 이직을 한다? 안한다? (0) | 2024.08.25 |
---|---|
광복절 일본여행 논란에 대한 개인적인 생각 (0) | 2024.08.14 |
트럼프 정부의 가장 위협적인 존재 (6) | 2024.07.23 |
가게에 들어온 좀도둑을 잡았다가 일자리를 잃게 된 사람들 (0) | 2024.02.22 |
짝퉁으로 흥한자 짝퉁으로 망하는 법, 루이싱 커피 (0) | 2024.0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