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947)
-
글로벌 배터리 업체 순위 어떻게 되나
ㅁSNE 리서치에서 발표한 배터리 랭킹 배터리에 대한 관심과 우려가 최근처럼 높았던 때가 없었던 것 같습니다. 이미 상당 부분 EV가 판매되어 운행 중에 있는데 본인 차량에 탑재된 배터리 제조사가 누구인지도 쉽사리 알 수 없다는데 불안감은 더 커져가는 듯합니다. 조성과 제조사에 상관없이 이제는 EV 전체에 대한 불신과 불안이 조장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안타까울 따름입니다. 배터리 관련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는 SNE 리서치가 배터리 제조사 순위를 발표하였습니다. 지난 23년 판매성적을 토대로 작성된 자료로 24년 실적은 반영되지 않은 수치입니다. 배터리 시장에서는 여전히 글로벌 Top 5의 영향력이 78.4%에 달하고 있습니다. 그 5위안에서도 1위인 CATL의 지배력이 매우 높은 실정입니다. 글로벌 순위..
2024.08.09 -
벤츠의 오만함이 사고를 불렀다.
ㅁ인천 청라 지하주차장 EV 화재사고 요즘은 EV를 보유한 운전자들이 괜히 주눅 들게 되는 시기인 듯합니다. 인천 지하주차장 EV사고의 여파가 그만큼 컸던 이유이기도 하지만 사실 그동안 EV의 화재위험성은 오늘내일의 문제는 아니었습니다. 이번 사고로 인한 피해규모가 100억대에 달 하는 등 영향력이 커지면서 더욱 붉어지기는 했지만 언제 터져도 이상하지 않을 그런 문제였다고 생각합니다. 벤츠의 전기차 시리즈는 국내 배터리업체인 SK온과 LG에너지설루션의 제품과 더불어 중국의 CATL과 문제의 파라시스제품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하이엔드급 전기차의 경우는 무겁고 에너지밀도가 낮은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보다는 3원계 NCA 혹은 NCM 배터리를 탑재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LFP배터리와 달리 NCA..
2024.08.09 -
테슬라 모델3를 누른 바로 그차가 온다.
2025년 BYD Seal의 공개정보 지난 3일 BYD의 오션시리즈 영업부서의 총괄 매니저는 2025년 BYD Seal의 인테리어 사양을 공개하였습니다. BYD는 빠르면 올해 늦으면 내년 국내 출시가 유력한 중국의 EV 제조사입니다. 현재 테슬라의 판매량을 넘어서 명실상부 EV 판매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으며, 특히 유럽과 남미 등지에서 많은 판매고를 올리고 있습니다. 지난해 말 중국 상해에 들렀을 때 쇼핑몰에 전시된 차량을 볼 기회가 있었는데, 생각보다 완성도가 좋아서 놀랐던 기억이 납니다. 그동안 중국차량에 대한 인식이 좋지 못한 것도 작용했지만, 3000만 원 초반의 차량이 좋으면 얼마나 좋을까 하는 생각도 영향을 준 탓이었습니다. 처음 외관을 봤을 때보다 운전석의 문을 열었을 때 BYD seal의 ..
2024.08.08 -
테슬라 모델 3 30만 킬로 사용 후 변화
EV는 오래 탈 수 없다? 전기차에 대한 인식이 롤러코스터와 같은 시기입니다. 경제적이며, 친환경적이란 인식을 벗어나 이제는 불안전하고 못 미더운 존재가 되어 가는 것 같아 마음이 무겁습니다. 초기 전기차가 캐즘에 빠지지 않았던 무렵 소비자들이 걱정하는 부분은 명확했습니다. 충전속도가 늦고, 인프라 또한 부족하며, 1회 충전에 따른 주행거리가 짧고, 내연기관차량에 수명에 비해 오래 탈 수 없다는 점이었습니다. 그동안 빠른 발전을 통해서 충전속도와 주행거리, 충전인프라등이 개선이 되어 가고 있습니다. 그러나 초기 구매자들이 아직 전기차의 수명까지 사용한 데이터들은 그에 비해 부족한 게 사실입니다. 그렇다면 정말 EV는 내연기관차량보다 오래 탈 수 없는 것일까요? 테슬라 모델 3 30만 킬로 사용 후 변화 ..
2024.08.07 -
화재 걱정없이 20년간 사용가능한 배터리
연이은 화재로 인한 EV포비아 인천 청라의 지하주차장 EV차량 사고로 자칫 전기차에 대한 공포로 확대되는 것은 아닌지 우려가 되고 있습니다. 그사이 금산의 주차장에서도 EV6의 화재소식이 더해져 급기야 전기차의 지하주차장 출입을 금지하는 아파트들까지 나타나고 있습니다. EV 차주로서 억울한 마음을 이해 못 하는 바는 아니지만, 다른 차량의 소유주들의 그런 행동도 이해가 갑니다. 이 모든 게 EV의 배터리 불안정이 가져온 결과가 아닐까 싶습니다. 결국 화재걱정 없이 사용할 수 있는 배터리의 필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고 하겠습니다. 어떠한 파손에도 화재로부터 자유롭고 충전속도가 1분 이내에 이루어지며, 1회 충전으로도 내연기관보다 더 먼 거리의 운행이 가능해진다면 EV를 사지 말라고 해도 앞 다투어 사는 그..
2024.08.07 -
더운 날씨에 내 EV의 주행거리는 얼마나 감소할까?
더운 여름 EV 주행거리 변화 EV를 운용하는 사람에게 있어서 무더운 여름날씨는 겨울의 추위만큼이나 까다롭습니다. 일반적인 날씨일 때와 달리 차량에 부가적인 장치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를테면 필수적인 에어컨 등 말입니다. 결국 운행을 위한 기본적인 장치 외 다른 장치들을 가동한다는 것은 추가적인 전기에너지를 소모해야 한다는 의미이고 이는 곧 EV의 주행거리 능력에 영향을 미친다는 의미입니다. 그렇다면 각 EV 업체에서 광고하던 그 주행거리 기준에 비추어 볼 때 주변 날씨가 얼마나 상승하면 차량의 주행거리저하가 나타날까요? 지금부터 일반적인 수준부터 각 EV들의 테스트 데이터까지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주변온도에 따른 주행거리 변화 기댓값 주위 온도가 상승하면 차량 내부의 온도를 낮추기 위해서 에..
2024.08.06 -
회사를 망치는 주범, 빈 카운터
우리 회사 요 모양 이 꼴인 이유 하반기에 대대적인 인사이동이 있었습니다. 뭐 어떤 생각으로 이런 변화를 이끌고 있는지 이해되지는 않지만 하찮은 저 같은 존재가 어찌 대붕의 생각을 알리 있겠습니까? 명목상 대기업은 맞지만 그동안 우리 회사가 대기업이라고 생각했던 적은 별로 없었습니다. 그런 회사이지만 위기를 몇 차례 넘겼고 그때마다 새로운 방법을 찾아내고는 했습니다. 어찌 되었거나 위기를 넘겨왔던 경험과 능력이 있었기에 지금의 회사라도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요즘 들어 더 힘들겠다고 느끼는 것은 바로 새로운 조직책임자 때문입니다. 회사를 망치는 조직책임자 바로 '빈 카운터'의 전형이기 때문입니다. 회사를 망치는 빈 카운터란? 빈 카운터(Bean Counter)란 기업의 모든 문제를 숫..
2024.08.05 -
벤츠 EQE 화재로 보는 배터리 위험성
움직이는 화약고 EV 인천 청라 지하주차장에서 발생한 벤츠 EQE 화재사고로 많은 입주민들의 두려움과 불편을 겪었습니다. 지난 1일 아침 폭발과 함께 발생한 화재로 차량 40여 대가 전소되었고, 100대의 차가 파손되었습니다. 또한 단전과 단수로 인해 같은 아파트 주민들은 2차 고통을 겪고 있습니다. 33도가 넘는 찜통더위에 임시쉘터에서 몸을 의지해야 하는 주민들의 고통이 이만저만이 아닐 것입니다. 이번 사고로 인해 전기차는 지하주차장에 들이면 안 된다는 의견이 힘을 얻고 있습니다. 그도 그럴 것이 이번 화재 차량은 1억 원이 넘는 고가의 차량으로 충전 중인 상황도 아닌 상태에서 발화되었기 때문입니다. 믿을 만한 차량으로 인식되는 벤츠도 이 정도인데 다른 차량은 어떨지 두렵다는 반응입니다. 지하주차장마다..
2024.08.05 -
제네시스 하이브리드에 적용되는 EREV 방식
이것은 전기차인가 내연기관차량인가? 전기차에 대한 캐즘(Chasm)으로 시장에서 EV의 입지는 날로 좁아들고 있습니다. 결국 사업적인 방향성은 EV가 맞지만, 현재로서는 대다수의 차량 제조사들은 과도기적인 어려움을 해결해야 하는 처지입니다. 눈치 빠른 도요타는 그사이 하이브리드 방식을 통해 상당한 재미를 보고 있습니다. 향후 2030년까지는 지속적으로 하이브리드 방식을 고집할 것으로 보이며, 이후 전기차에 대한 진지한 변환을 꾀한다는 전략입니다. 제네시스의 경우 가솔린차량으로 나름 큰 재미를 보고 있는 브랜드입니다. 국내에서는 말할 것 없고 해외에서도 호평을 받고 있습니다. 그런 제네시스에게 없는 라인업이 바로 하이브리드 입니다. 따라서 그 동안 많은 소비자들은 제네시스의 하이브리드는 어느 시점에 출시될..
2024.08.03 -
돈 안되는 로보택시 추진하는 테슬라의 노림수
로보택시에 대한 회의적인 시선 전기차시장에서 테슬라의 입지가 중국업체들에게 위협받고 있습니다. 그동안 절대적인 생산혁신과 설계기술을 기반으로 전기차 시장을 선점했던 테슬라는 이제 후발주자들에게 쫓김을 당하고 있습니다. 이미 판매량에서는 BYD에 선두자리를 내주었고, 지나친 가격경쟁 탓에 수익성 역시 하락하고 있습니다. 주가 역시 이러한 상황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그런 테슬라가 반등의 카드라고 내놓은 것이 바로 로보택시 사업입니다. 그동안 기다려왔던 모델 2는 연기하기로 하였지만 오히려 로보택시사업의 시작점을 더 당기겠다고 발표했습니다. 로보택시라고 하면 구글의 자회사인 웨이모를 먼저 떠올리게 됩니다. 그런 웨이모도 2016년부터 파일럿 운행을 포함하여 8년 만인 2024년 7월에야 비로소 허가를 받아 정..
2024.08.02